사용된 부품 및 도구 : |
- TP4056 ( C타입 / 보호회로 O ) x 1 |
- MT3608 ( step-up ) x 1 |
- 18650 리튬이온 배터리 5100mah ( 보호회로 O ) x 1 |
- 12V RGB LED 스트립 x 1 |
- 2mm 열 수축튜브 x n |
- 토글 스위치 x 1 |
- 포맥스 2T or 3T x 1 |
일단 제작에 앞서 흰색 LED로 책장을 꾸미려고 했는데, LED스트랩을 확인했을 때 흰색 LED가 없어서
많이 당황할 수 있는데, 모든 LED에 연결하면 흰색이 나온다.
다 연결하고 한 개의 전선으로 납땜 해주면 끝이다.
기본 회로
필자는 주문할 때 실수로 5v LED 스트랩이 아니라 12v 짜리를 주문하였기에, 스텝업 모듈(MT3608)을 사용해서
저항값을 올린 뒤 5v 보다 높은 12v 전압으로 승압 시켜주었다.
참고로 오른 쪽 위에 보이는 황금색 구멍? 에다가 동전이나 일자드라이버를 끼워서 돌리면 된다.
승압된 전압을 확인하고 싶으면 멀티테스터기를 통하여 VOUT 에다가 찍으면 된다.
그 후, TP4056 에서 나오는 전압을 VIN+, VIN- 에 연결해주면 승압은 끝난 것이다.
[ 납땜 ] 리튬배터리를 이용하여 팬을 on / off 를 해보자!
사용된 부품 및 도구 :- TP4056 x 1- 리튬 배터리(2000mAh , 5V) x 1 - DC BRUSHLESS FAN(5V) x 1- 31mm 로커 스위치 2핀 x 1- 2mm 열 수축튜브 x 2- 납땜용 전선 x 4- 기본 납땜 도구 x 1일단 Fan 에 전원을 공급해주어야
sanguk.tistory.com
위 글에서 TP4056 개념 및 스위치 개념을 설명 해놨으니, 한번 보고 오는 것을 추천한다.
마무리
다시 말하지만, 만약 LED 스트랩이 5V 였다면 MT3608을 사용하지 않았을 것이다.
그리고 LED 스트립을 3개로 나누어서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선을 총 9개의 선을 납땜하고,
그 선들을 한 개의 선으로 통합을 해줘야 하므 납땜하는 데 시간이 오걸렸다.
추가로 합선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하나 수축 튜브를 넣어줬다.
만약 지금 와서 다시 생각을 해보자면 절대 이 방식으로는 납땜을 안 할 것이다.
따로 스트랩 연결 커넥터를 판매하고 있기도 하고, 굳이 3개로 나눌 필요 없이 살짝 구겨서 모서리 붙이면
해결되기에 필자와는 다른 방법으로 시도하기를 추천한다.
'프로젝트 > 납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납땜 ] 리튬배터리를 이용하여 팬을 on / off 를 해보자! (0) | 2021.07.09 |
---|---|
[ 납땜 ] 태양전지 패널을 이용하여 LED를 켜보자. (0) | 2021.06.20 |